김보현 (187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보현은 평안남도 대동군 출신의 농부로, 김일성의 할아버지이다. 그는 소작농의 아들로 태어나 어려운 환경에서 자랐으며, 이보익과 결혼하여 김형직(김일성의 아버지) 등 3남 3녀를 두었다. 광복 후에는 대동군 태수 직을 잠시 지냈으나, 이는 김일성이 만들어준 직책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만경대에서 농부로 살다가 1955년에 사망했으며, 김보현대학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북한에서는 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김일성 가계의 우상화에 이용되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동군 출신 - 김영주 (1920년)
김영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일성의 동생이자 김정일의 삼촌이며, 한때 후계자로 여겨졌으나 김정일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났고, 7·4 남북 공동 성명 당시 북측 대표, 국가부주석 등을 역임했다. - 대동군 출신 - 선우종원
선우종원은 일제강점기 평양고보와 경성제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검사, 국무총리 비서실장, 한국조폐공사 사장,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국회사무총장, 평화통일자문회의 부의장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자 행정가이다. - 농업인 - 새뮤얼 버틀러 (소설가)
새뮤얼 버틀러는 유토피아 소설 『이어원』으로 유명하고 진화론 비판 및 독특한 신학 사상을 제시한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소설가이자 작가, 철학자, 음악가이다. - 농업인 - 정운천
전업 농부 출신으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을 지낸 정운천은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 논란 후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여러 정당을 거치며 활동했고, 농업과 정치 분야에서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 김일성가 - 김설송
김설송은 김정일과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김정일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몰타와 유럽에서 유학하며 외국어를 배웠다. - 김일성가 - 김여정
김여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정일과 고용희 사이에서 태어나 김정은의 여동생이며, 조선로동당 핵심 실세로 부상하여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등 주요 외교 행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대외적으로 강경한 어조의 담화를 발표하며 대남·대미 압박을 주도하기도 한다.
김보현 (1871년)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보현 |
한자 | 金輔鉉 |
로마자 표기 | Kim Bo Hyon |
조선글 표기 | 김보현 |
가나 표기 | キム・ボヒョン |
출생일 | 1871년 8월 19일 |
출생지 | 평안남도 대동군 |
사망일 | 1955년 9월 2일 |
정당 | 무소속 |
가족 관계 | |
부 | 김응우 |
모 | 리씨 부인 |
배우자 | 이보익 |
자녀 | 김형직 (장남) 김형권 (차남) 김형록 (삼남) |
손자 | 김일성 (장손) 김철주 (차손) 김영주 (삼손) 김창주 (사손, 삼남 김형록의 아들) |
증손 | 김정일 김만일 김경희 김경진 김평일 |
직책 | |
직책 | 농림성 고급특별고문역보좌관 |
기타 | |
참고 | 김두봉 |
총리 | 김일성 |
장관 | 박문규 북조선 농림상 |
차관 | 한전종 북조선 농림성 부상 |
임기 | 1948년 9월 16일 ~ 1949년 10월 1일 |
이미지 | |
![]() |
2. 생애
평안남도 대동군 만경대에서 산당지기 김응우의 외아들[6]로 태어났다. 김응우가 일찍 사망하여 소작살이로 어려운 생활을 했다. 이보익과 결혼하여 김형직(김일성의 아버지), 김형록, 김형권, 김구일녀, 김형실, 김형복 등 3남 3녀를 두었다. 일찍 부모를 잃은 손자 김일성을 양육하였다고 전해진다. 평양 부근의 지주 이평택(李平沢) 집의 묘지기 겸 소작인으로 일했다.
1945년 광복 후 평안남도 대동군 태수 직을 잠시 지냈으나, 이는 손자 김일성이 만들어 준 자리였다.[6]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농업성 고급특별고문역보좌관을 잠시 지내다 1949년 은퇴했다. 그의 행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우상화를 위해 미화되고 있다.[6]
말년에 손자가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인천상륙작전으로 인해 피난을 가는 등 고생을 했다. 1955년 84세로 사망했고, 만경대 묘지에 반신상이 세워져 있다. 박정희의 아버지 박성빈과 동갑이다.
2. 1. 초기 생애
평안남도 대동군 만경대에서 산당지기 김응우의 외아들[6]로 태어났다. 김응우가 일찍 사망하여 소작살이로 어려운 생활을 했다. 이보익과 결혼하여 김형직(김일성의 아버지), 김형록, 김형권, 김구일녀, 김형실, 김형복 등 3남 3녀를 두었다. 일찍 부모를 잃은 손자 김일성을 양육하였다고 전해진다. 평양 부근의 지주 이평택(李平沢) 집의 묘지기 겸 소작인으로 일했다.2. 2. 김일성과의 관계
이보익과 결혼하여 김일성의 아버지인 장남 김형직 등 3남 3녀를 낳았다. 일찍 부모를 잃은 손자 김일성을 양육하였다고 전해진다.[6]1945년 조선 광복 후 1945년 9월 16일부터 1946년 5월 31일까지 평안남도 대동군 태수(平安南道 大同郡 太守) 직을 지냈을 뿐인 그의 행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우상화를 위하여 없는 사실을 만들어내어 우상화 되고 있다. 대동군 태수 직책조차도 김보현 본인의 능력과는 상관 없이 손자가 할아버지한테 만들어다 바친 관직일 뿐이었다.[6]
광복 이후, 손자 김성주가 항일 영웅 김일성 장군으로 조선에 개선했을 때,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사칭설, 중국인설 등의 소문이 돌자 당황한 소련 측은 1945년 10월 15일에 김일성을 만경대에 살던 그의 집으로 방문하게 하여 항일 투쟁 경력에 대한 말을 맞추는 공작을 벌였다. 보현은 성실한 사람이었기에 속임수를 견디지 못하고, 후일 평양에서 열린 김일성 장군 개선 축하회에는 불참하였다.
손자 김성주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건설하고 친족들이 관료로 등용되는 가운데, 정부 요직에 오르는 것을 싫어하고 만경대에서 종전과 같이 농부로 살았다. 소박하고 조용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말년에 손자가 한국 전쟁을 일으켰는데 인천상륙작전의 여파로 인하여 피난을 가는 등 손자 때문에 고생을 했다.
2. 3. 북한 정권 수립 이후
1945년 조선 광복 후 1945년 9월 16일부터 1946년 5월 31일까지 평안남도 대동군 태수(平安南道 大同郡 太守) 직을 지냈는데, 이는 김보현 본인의 능력과는 관계 없이 손자가 만들어 바친 관직이었다.[6] 1948년 9월 16일부터 1949년 10월 1일까지 1년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농업성 예하 고급특별고문역보좌관(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農業省 高級特別顧問役補佐官) 직을 지낸 후, 1949년 10월 1일을 기하여 은퇴하였다. 그의 행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우상화를 위해 없는 사실을 만들어내 미화되고 있다.[6]손자 김성주(김일성)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건설하고 친족들이 관료로 등용되는 가운데, 김보현은 정부 요직에 오르는 것을 싫어하고 만경대에서 농부로 살았다. 그는 소박하고 조용한 사람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1994년 그의 이름을 따서 개칭한 농업 간부 재교육 기관인 김보현대학이 있다.[6]
말년에 손자 김일성이 한국 전쟁을 일으켰고, 인천상륙작전의 여파로 피난을 가는 등 손자 때문에 고생을 했다.
2. 4. 사후
1948년 9월 16일부터 1949년 10월 1일까지 1년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농업성 예하 고급특별고문역보좌관 직을 지냈으며, 1949년 10월 1일에 관직에서 은퇴하였다. 이후 1955년에 84세로 사망하였으며, 만경대 묘지에 그의 반신상이 세워져 있다.말년에 손자 김일성이 한국 전쟁을 일으켰고, 인천상륙작전의 여파로 피난을 가는 등 손자 때문에 고생을 하였다.
박정희의 아버지인 박성빈과 동갑내기이다.
3. 비판 및 논란
소작농한국어으로 태어나 여러 고난 속에서 살면서 자녀와 손주들에게 애국심을 가르치고 그 활동을 열렬히 지원한 인물이라고 평가되고 있지만, 이는 북한 당국의 선전 내용이며 실제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3. 1. 김일성 가계 우상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김일성 가계 우상화를 위하여 김보현의 행적에 없는 사실을 만들어내어 우상화하고 있다. 1945년 9월 16일부터 1946년 5월 31일까지 평안남도 대동군 태수(平安南道 大同郡 太守) 직을 지냈을 뿐이지만, 이 직책조차도 김보현 본인의 능력과는 상관 없이 손자가 할아버지에게 만들어다 바친 관직이었다.[6] 농업 간부 재교육을 위한 김보현대학은 1994년 그의 이름을 따서 개칭한 명칭이다. 1948년 9월 16일부터 1949년 10월 1일까지 1년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농업성 예하 고급특별고문역보좌관(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農業省 高級特別顧問役補佐官) 직을 지낸 그는 1949년 10월 1일을 기하여 관직에서 은퇴 후 1955년에 향년 84세로 사망하였다. 만경대의 묘지에는 그의 반신상이 세워져 있다.말년에 손자가 한국 전쟁을 일으켰는데 인천상륙작전의 여파로 인하여 피난을 가는 등 손자 때문에 고생을 했다.
소작농으로 태어나 여러 고난 속에서 살면서 자녀와 손주들에게 애국심을 가르치고 그 활동을 열렬히 지원한 인물이라고 평가되고 있지만, 이는 북한 당국의 선전 내용이며 실제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3. 2. 전주 김씨 본관 논란
김일성이 자신의 본관을 전주 김씨로 칭하는 것은[1] 자칭[2]이며,[3] 빈민 계급 출신에 문맹이었던 그의 조상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진상은 불명이다.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
아버지 | 김응우 | 1848년 6월 17일 | 1878년 10월 4일 |
어머니 | 이씨 (李氏) | ? | ? |
부인 | 이보익 | 1876년 5월 31일 (음력) | 1959년 10월 18일 |
아들 | 김형직 | 1894년 7월 10일 (음력) | 1926년 6월 5일 |
아들 | 김형록[6] | ? | ? |
아들 | 김형권 | 1905년 11월 4일 | 1936년 1월 12일 |
딸 | 김구일(金九日女)[6] | ? | ? |
딸 | 김형실(金亨實)[6] | ? | ? |
딸 | 김형복(金亨福)[6] | ? | ? |
손자 | 김일성 | 1912년 4월 15일 | 1994년 7월 8일 |
5. 김일성 가계도
이름 | 출생 | 사망 |
---|---|---|
김응우 | 1848년 | 1878년 |
김보현 | 1871년 | 1955년 |
리보익 | 1876년 | 1959년 |
김형직 | 1894년 | 1926년[6] |
김일성 | 1912년 | 1994년 |
김형록[6] | ||
김형권 | 1905년 | 1936년[6] |
김구일녀[6] | ||
김형실[6] | ||
김형복[6] |
참조
[1]
문서
전주김씨 논쟁
[2]
문서
김일성 가계 및 전주김씨 관련 기사
[3]
책
與世紀同行 (김일성 회고록)
[4]
문서
김형직 형제
[5]
문서
김영일 (1955년) 출생 관련 정보
[6]
웹인용
김씨일가의 거지근성
http://www.lkp.news/[...]
2020-09-28
[7]
웹인용
[광복 75주년] 김일성과 조부 김보현
https://www.newsis.c[...]
2020-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